기도문 모음 / / 2025. 4. 9. 02:11

주모경: 가톨릭 기본 기도문의 이해와 신앙적 의미

가톨릭 신자들에게 가장 익숙하고 자주 바쳐지는 기도문이 있다면, 바로 ‘주모경’일 것입니다.
‘주모경’은 주님의 기도성모송을 중심으로 구성된 가톨릭의 기본 기도문이며, 실제 기도생활에서는 영광송과 함께 바쳐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많은 신자들이 이 세 기도문을 모두 ‘주모경’으로 부르기도 하는 가운데, 정확한 개념과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신앙생활의 깊이를 더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주모경의 정확한 의미와 유래, 각 기도문의 내용, 그리고 신앙생활 속에서 주모경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

 

주모경 기도문

 

주모경의 정의와 유래

 

‘주모경(主母經)’이라는 용어는 ‘주님(主)’과 ‘어머니(母)’에게 드리는 기도문’이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이 명칭은 가톨릭에서 가장 기본적인 두 기도문인 ‘주님의 기도’와 ‘성모송’을 함께 묶어 일컫는 표현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한불자전(韓佛字典)에서는 ‘주모’라는 표현이 ① 천주의 어머니 ② 지극히 성스러운 동정녀 를 뜻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학자와 성직자들 사이에서는 영광송까지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 “정확히는 주님의 기도와 성모송만이 주모경이며, 영광송은 별도 기도지만 함께 바치면 공로가 더욱 크다”는 설명도 존재합니다.

 

즉, ‘주모경’은 형식적으로는 주님의 기도와 성모송을 가리키지만, 실제 신앙생활에서는 영광송까지 포함된 형태로 자주 바쳐지는 기도라 할 수 있습니다.

 

 

 

 

 

주모경의 구성

1. 주님의 기도 (The Lord’s Prayer)

예수님께서 친히 제자들에게 가르쳐주신 기도문입니다.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로 시작하는 이 기도는, 하느님께 대한 찬미, 우리의 간청, 그리고 용서와 구원을 청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 가톨릭 신앙의 핵심을 담고 있습니다.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아버지의 이름이 거룩히 빛나시며 아버지의 나라가 오시며 아버지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소서. 오늘 저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고 저희에게 잘못한 이를 저희가 용서하오니 저희 죄를 용서하시고 저희를 유혹에 빠지지 않게 하시고 악에서 구하소서. 아멘.
 
 
 
 
 

2. 성모송 (Hail Mary)

성모 마리아께 드리는 대표적인 기도문으로, 루카 복음서에 나오는 대천사 가브리엘의 인사와 엘리사벳의 찬미가 결합된 구절과, 후대 교회에서 덧붙인 청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은총이 가득하신 마리아님, 기뻐하소서. 주님께서 함께 계시니 여인 중에 복되시며 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나이다. 천주의 성모 마리아님, 이제와 저희 죽을 때에 저희 죄인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멘.

 

▶ 전반부는 하느님이 주신 은총에 대한 찬미이고, 후반부는 성모 마리아의 전구(중재)를 요청하는 간청입니다.

 

 

3. 영광송 (Glory Be)

영광송은 삼위일체 하느님께 드리는 찬미의 기도입니다.
비록 주모경에 공식적으로 포함되지는 않지만, 실제 기도실천에서는 주님의 기도 – 성모송 – 영광송의 순서로 함께 바쳐지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 아멘.

 

▶ 이 기도를 바칠 때는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라는 구절에서 고개를 숙이는 것이 전통입니다.

 

 

주모경의 다양한 언어 버전

 

전 세계 어디에서나 가톨릭 신자들은 같은 기도를 바칩니다.
이는 보편 교회의 특성을 잘 보여주며, 주모경은 라틴어, 영어, 프랑스어 등 다양한 언어로 바쳐집니다.

 

 

영어 Our Father (주님의 기도)

Our Father, Who art in heaven, hallowed be Thy name.
Thy kingdom come, Thy will be done, on earth as it is in heaven.
Give us this day our daily bread, and forgive us our trespasses,
as we forgive those who trespass against us.
And lead us not into temptation, but deliver us from evil. Amen.

 

 

영어 Hail Mary (성모송)

Hail Mary, full of grace, the Lord is with thee.
Blessed art thou among women, and blessed is the fruit of thy womb, Jesus.
Holy Mary, Mother of God, pray for us sinners, now and at the hour of our death. Amen.

 

 

영어 Glory Be (영광송)

Glory be to the Father, and to the Son, and to the Holy Spirit.
As it was in the beginning, is now, and ever shall be, world without end. Amen.

 

 

 

 

신앙생활 속 주모경의 역할

 

주모경은 단지 기도문 암송에 그치지 않고, 실제 신앙생활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고해성사 후 보속 기도
    고해성사를 받은 뒤, 사제가 보속으로 주모경을 바치도록 지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아침과 저녁기도
    일상 속에서 하루의 시작과 끝을 하느님과 성모님께 봉헌하는 기도로 바칩니다.
  3. 묵주기도의 구성요소
    묵주기도의 반복 구조 안에서 주님의 기도, 성모송, 영광송이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4. 공소 예절 및 기도 모임
    신부님이 없는 지역에서 신자들이 공동체 예배를 드릴 때, 주모경은 필수적인 기도입니다.

 

 

결론: 기도의 뿌리, 신앙의 중심 – 주모경

 

주모경은 단지 오래된 기도문이 아니라, 하느님과의 관계를 맺고 유지해주는 신앙의 숨결입니다.
주님의 기도를 통해 하느님 아버지를 찬미하고, 성모송을 통해 마리아의 전구를 청하며, 영광송으로 삼위일체 하느님께 찬미를 드리는 주모경은 가톨릭 신앙의 핵심을 요약한 기도라 할 수 있습니다.

 

오늘 하루도 이 기도문과 함께 하느님과 더 가까이, 성모님을 통해 더욱 깊이 신앙을 살아가보면 어떨까요?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